생활꿀팁

혼인신고준비물 사전준비 잘 하세요!

베리블리 2023. 4. 3. 23:15
반응형

저희 부부가 혼인신고 한지 벌써 2년차에요 :-)

시간 정말 빠른 것 같아요

처음 저희가 혼인신고를 하려고 준비할 때가 생각이 나네요

동사무소 갈 때 얼마나 떨렸던지~ 기분이 묘하면서 신기하기도 하고

책임감도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여러분들께 혼인신고 어떻게 하는건지 절차랑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먼저 혼인신고 접수는 어디서 가능한지 아세요~?

우선, 인터넷 등 온라인으로는 불가능해요

즉 오프라인에서 가능하다는 말이겠죠?

시, 구, 읍, 면 장에게 하는 민원으로 시청이나 구청, 읍사무소, 면사무소에서

해야 하고 혹은 우편으로도 가능하다고 해요.

※ 주민센터에서는 혼인신고 불가

본인이 살고있는 곳에서 꼭 안해도 되고,

내가 경기도에 살아도, 서울에서 접수가 가능해요.

그래서 저희부부는 인천에 살고있는데 직장이 서울이였어서

가까운 영등포구청에 가서 혼인신고를 접수했답니다

 

 

그럼 혼인신고를 어디서 하는지 알아보았으니 혼인신고준비무을 알아봐야겠죠?


첫번째,

남편과 아내 내방시 각각 신분증을 지참

두번째,

한사람만 내방 할 경우 각자의 신분증 및 도장

 

 

팁을 드리자면, 혼인신고서 양식을 대한민국법원에서 발급을 받아

해당양식을 미리 작성해서 가셔도 되요! 그리고 증인도 미리 작성해서 가면 좋아요

※증인은 같이 갈 필요 없음

증인의 도장이나 서명, 주민번호와 실거주지만 적혀있으면 되요

혼인신고준비물 어딘가 복잡하고 어려우시죠?

 

 

왼쪽에 남편, 오른쪽에 아내의 인적사항을 채우면 되고

본 이라는 말을 처음 들으신 분들도 계실텐데

본(한자)은 가족관계증명서를 출력하면 나와있어요

등록기준지도 가족관계증명서에 써져있으니 당황하지 마세요!

집에서 작성해서 가실 분들은 정부24에 들어가서

출력 및 조회 (가족관계증명서) 가 가능하니 확인하시면 되요

 

 

부모님 인적사항을 쓰는 곳 또한 가족관계증명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시면 되요

성,본의 협의는 자녀가 태어날 때 엄마성으로 원하면 

예 라고 체크하시면 되고, 아빠성을 원하시면 아니오 체크 해주시면 되요

근친혼여부는 8촌이내 혈족사이인지를 알아보는 건데,

우리나라 민법상 8촌이내 결혼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라 아니오 체크하시면 되요.

혼인신고 증인은 부모님, 회사동료, 친구 등 누구든 괜찮아요

단! 미성년자는 안되니까 주의하세요

증인은 두분을 쓰면 됩니다 :-)

동의자 항목은 성인이시라면 비워두시면 되요~

혼인신고준비물은 여기까지에요!

얼른 법적으로 부부가 되러 떠나볼까요?

 

 

 

이렇게 저희는 혼인신고준비물을 미리 알아보고

사전에 준비해서 구청을 갔기 때문에

수월하게 진행 할 수 있었고

빠르게 접수까지 완료 했습니다 :)

 

 

 

 

혼인신고준비물 이 라는게

사실 어려운건 아니에요

 

우리가 처음 접해 보거나

생소한 말들이 많아서 적기 힘들 뿐

이렇게 사전준비하면 빠르게 하실 수 있어요~

 

 

 

 

한 평생 남으로 살아 온 두사람이

드디어~ 법적으로 가족이 되었습니다~

이제 결혼을 계획하시거나

혼인신고를 계획하시는 분들

모두 행복하세요 ~ :)

반응형